(2) 세균성 질병
(가)탄저(Anthrax)
온혈동물의 급성 전염성 질병이면서 비장의 종대와 피하 및 점막 아래의 출혈이 특징이고, 흑염소, 소, 면양, 말 및 노새에 있어서는 급성패혈증이, 국소성 탄저는 돼지에서 가장 흔하며, 개는 드물고 사람에 있어서는 치사성 패혈증으로 발생한다.
- 원인
∙ 탄저의 원인균은 Bacillus anthracis 이며, 개체에 칩입한 후 체내에서 협막을 형성하고 아포는 산소가 있어야만 형성
 
_?xml_:namespace prefix = v ns = "urn:schemas-microsoft-com:vml" />_?xml_: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_?xml_:namespace prefix = w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word" />
∙ 탄저균의 전파는 아포가 존재하는 토양이 주요 매개체이며, 아포에 오염된 흙, 사료, 물 등의 섭취에 의한 경구감염이 많으며, 탄저균이 증 식 후 혈류로 들어가 전신으로 퍼져 패혈증을 일으킴
- 증상
∙ 동물체내로 침입한 후 잠복기는 2-10일이며, 감염된 개체는 전구증상도 없이 갑자기 폐사되는 급성형이며, 환축을 조기에 발견시 고열, 식 욕과 되새김이 없고, 호흡곤란, 침울 등을 볼 수 있으며, 말기에는 입을 벌리고 극단적인 호흡곤란 및 촉박이 있으며, 이후 허탈상태로 폐사
∙ 폐사를 전, 후하여 자연공(코, 입, 눈, 항문 등)에서의 혈액성 분비물의 유출을 빈번히 볼수있으며, 비강, 구강, 및 안점막은 충혈 및 청색증 관찰
∙ 급성형보다 미약한 증상을 나타낼 경우에는 두부, 전흉부, 흉부 및 겸부등에 광범한 수종이 생기고, 처음에 두부 수종이 생긴 후부터 심한 호흡곤란이 나타나며, 그 후 말기에 이르면 몸체의 모든 부위에 수종이 생긴 후 폐사한다.
- 예방 및 치료
∙ 탄저병 증상이 나타난 환축에 페니씰린, 테라마이신, 테트라싸이클린을 병 초기에 최대 약 적용량을 주사하면 치료가 가능
∙ 시판되는 소 탄저 및 기종저 아포백신을 체중에 맞추어 접종하면 면역항체가 지속되어 본 병을 예방할 수 있음
∙ 탄저병으로 죽은 사체, 발병된 축사의 모든 물건, 배변, 분비물 등과 함께 철저히 소각하고 아울러 축사 내의 모든 기구를 소독을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