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병
(가) 전염성 비기관염(IBR ; Infectious Bovine Rhinotracheitis)
- 원인
∙ 흑염소의 전염성 비기관염의 원인체는 전염성 비기관염 바이러스(IBRV) 임
∙ 교미 등의 접촉 전파 및 발병한 흑염소의 비즙, 눈물 또는 생식기의 분비물로 감염
∙ 연령에 관계없이 발생하나 주로 어린 흑염소에서 다발하며, 폐사율이 더 높음
∙ 주로 환절기, 밀집, 집단 사육시, 또는 수송이나 기타 스트레스등에 의해 발병
- 증상
∙ 호흡기(비기관염)형, 유산형, 외음질염 및 자궁내막염, 피부염 및 뇌수막염형이 있음
∙ 호흡기(비기관염)형이 가장 빈번하며, 특히 집단 사육시 다발, 40℃~41℃의 고열, 원기소실, 식욕부진, 눈물, 침 흘림, 점액, 농양, 콧물, 비점막 충혈, 농포성 과립, 치즈양 위막 또는 궤양 등이 나타남
∙ 유산형은 임신한 흑염소가 감염시 유산, 유산한 일부 염소는 후산정체, 유산한 어미 흑염소는 비기관염이나 각막염, 결막염, 외음질염 등을 나타냄
∙ 외음질염 및 자궁내막염형은 암컷 흑염소에서 외음부의 발적 종창질점막의 충혈, 점액농양 삼출물, 위막궤양 등을 형성하고 자궁내막염을 수반하고, 수컷 염소에서는 귀두, 포피, 음경의 충혈 종창 및 궤양 등을 나타냄
∙ 피부염형은 피부에 농포 또는 수포가 생기며, 발적 종창을 형성
∙ 뇌수막염형은 비즙, 눈물, 호흡곤란에 이어 흥분 혼수상태 및 시력장애 등을 나타냄
 
_?xml_:namespace prefix = v ns = "urn:schemas-microsoft-com:vml" />_?xml_: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_?xml_:namespace prefix = w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word" />
그림 1. 소의 전염성비기관염(결막염, 콧등 궤양)
- 예방 및 치료
∙ 백신을 이용하여 예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나 현재 흑염소용으로는 시판되지 않기 때문에 소의 호흡기질병 예방약으로 시판되고 있는 소전염성비기관염바이러스(IBRV),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PI3V) 및 소 바이러스성 설사-점막병 바이러스(BVDV), 소호흡기 합포체성 바이러스(BRSV)가 추가된 4종 혼합 불활화백신을 접종
(나) 파라인플루엔자 3 바이러스 감염증(PI3; Parainfluenza 3 virus infection)
- 원인
∙ 흑염소의 파라인플루엔자 3 바이러스 감염증의 원인체는 파라인플루엔자 3 바이러스(PI3; Parainfluenza 3 virus)임
∙ 주로 흑염소, 면양 및 어린 송아지에 직접접촉 또는 공기감염에 의한 호흡기 질병임
- 증상
∙ 초유를 먹은지 1주일되는 어린 흑염소나 면양에서 기침, 거친 호흡, 식욕부진, 원기소실 등을 나타냄
∙ 40°C 전후의 발열과 식욕감퇴 침흘림, 콧물 기침, 폐포음의 이상 등 호흡기 증상
∙ 폐사율이 높아지고 임신우에서는 유산유발 가능성 및 합포체성 폐렴 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마이코플라스마등과 혼합 감염시 심한 임상증상을 보임
- 예방 및 치료
∙ 특별한 치료약제는 없고, 수송 및 방목전에 시판중인 파라인플루엔자 3 바이러스(PI3)가 포함된 소의 종합 호흡기 예방약을 접종 또는 분만 2~4주전에 접종
∙ 모체이행 항체수준이 떨어지는 연령에 백신을 접종하고 매년 보강을 함
(다) 합포성 폐렴(RSV ; Respiratory Syncytial Virus)
- 원인
∙ 원인체는 합포체성 바이러스(RSV ; Respiratory syncytial virus)이며, 흑염소, 면양, 소, 사람 등에 직접 또는 공기전파
- 증상
∙ 증상은 매우 다양하여 증상이 거의 없거나 준 임상형, 간혹 심한 임상 증상을 나타냄
∙ 감염 초기에는 식욕부진, 장액성 또는 점액성 비루를 보이며 유연, 호흡촉박, 눈물, 40~41℃의 고열을 나타냄
∙ 감염 후반기에 개구호흡, 포말성 유연, 기관지 및 간질성 폐렴, 목부위의 피부 종대
- 예방 및 치료
∙ 특별한 치료약제는 없으며, 백신을 접종과 차단방역이 최선의 방법임
∙ 바이러스성 질병에 혼합감염이 예상되는 경우 시판되고 있는 소 합포체성 바이러스(BRSV ; Bovine respiratory syncytial virus)가 포함된 종합 호흡기백신을 염소에 접종할 경우 효과를 볼 수 있음
(라)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Adenovirus Infection)
- 원인
∙ 흑염소의 아데노바이러스감염증의 원인체는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임
- 증상
∙ 포유 또는 육성중인 어린 흑염소나 면양에서 폐렴과 장염 유발 및 높은 폐사율
∙ 야외 감염후 4~8일부터 미열, 호흡기증상, 만성적으로 진행시 간질성 폐렴
- 예방 및 치료
∙ 대증요법을 실시, 2차적 세균감염방지를 위한 종합항생제 투여
(3) 세균성 호흡기 질병
(가) 파스튜렐라 폐렴(Pasteurellosis)
흑염소 및 면양에서 주로 두가지 원인체에 의해 발병한다. 폐렴형인 파스튜렐라 헤몰리티카(Pasteurella haemolytica) A형은 유행성 및 광범위한 폐렴을 일으키며, 또한 패혈증형인 파스튜렐라 헤몰리티카(Pasteurella haemolytica) T형은 가을과 겨울철에 급성 패혈증을 일으키면서 폐사하며, 특히 노령 흑염소에서 다발한다.
- 원인
∙ 파스튜렐라 헤몰리티카(Pasteurella haemolytica) A1 형, 파스튜렐라 뮬토시다 (Pasteurella multocida) D1, D4 형
∙ 감염된 어미 흑염소에서 어린 흑염소로 수직전파, 발병 흑염소와의
직접접촉과 비말이나 기침 등의 공기감염을 통한 동거감염
∙ 초유급여의 부족과 장거리수송, 사양환경의 변화, 다두사육에 따른 밀 사, 환기불량과 부적절한 보온관리에 따른 온도차
- 증상
∙ 스트레스를 받거나 장거리 수송 후 새로운 축군에 유입된지 6~10일쯤 후 발병
∙ 초기는 침울, 식욕감퇴, 가벼운 기침을 보이며, 급성 경과시 발열, 비 강에서 콧물 등의 삼출물 배출, 개구호흡, 기관지 호흡, 복식호흡, 호흡곤란, 섬유소성 폐렴, 급사
∙ 인후두와 제4위의 괴사성 미란, 피하직 출혈, 폐수종, 간 괴사
∙ 폐병변은 대개 양측성, 비염, 부 비강염, 후두염, 섬유소성 흉막염, 섬유소성 폐렴
∙ 기관지는 섬유소, 점액, 혈액 응고물, 화농 등 절단면은 출혈, 경색, 괴사

 
그림 2. 흑염소의 파스튜렐라 폐렴 감염시 타액분비 및 폐렴 소견
- 예방 및 치료
∙ 임상증상 발현 후 즉시 효과적인 항생제요법을 12시간 48시간 실시
∙ 흑염소 축군 또는 어린 흑염소를 장거리 수송시, 이유, 거세, 제각등 의 스트레스 이전에도 백신접종을 실시
∙ 예방조치로는 백신접종이나 또는 사전에 항생제를 미리 투여
(나) 마이코플라즈마 폐렴(Mycoplasmosis)
- 원인
∙ 마이크플라즈마 폐렴의 원인균은 아주 다양하며, 특히 M. agalactiae, M. capricolum, M. mycoides subsp. capri, M. mycoides subsp. mycoides, Mycoplasma strain F38 등이 병원성이 높음
∙ 사양환경의 변화, 다두 사육에 따른 밀사와 환기불량, 부적절한 보온관리, 심한 일교차
∙ 수직전파 및 감염축과의 직접접촉과 비말이나 기침 등의 공기전파
- 증상
∙ 고온(41℃)의 발열과 원기상실, 식욕절폐, 피모의 광택소실
∙ 농양의 비즙과 완고한 기침, 만성화 되면 천명과 신음, 감염시 흑염소에서는 폐렴증상
표 2. 면양과 산양의 마이코플라즈마 감염시 증상
균 종
|
감수성 동물(숙주)
|
병원성
|
증 상
|
M. agalactiae
|
면양, 산양
|
높음
|
전염성무유증, 관절염,
외음부질염,결막염, 폐렴
|
M. arginini
|
숙주범위가 광범위함
|
낮음
|
점액분비
|
M. capricolum
|
면양, 산양
|
높음
|
유방염, 다발성관절염,
자축은 패혈증
|
M. conjunctivae
|
면양, 산양, 영양
|
보통
|
각결막염
|
M. mycoides
subsp. capri
|
산양
|
높음
|
전염성 산양 흉막폐렴
|
M. mycoides
subsp. mycoides
|
면양, 산양
|
높음
|
패혈증, 다발성관졀염,
유방염, 각결막염
|
M.ovipneumoniae
|
면양, 산양
|
낮음
|
Pasteurella haemolytica
혼합감염시 만성폐렴
|
M. putrefaciens
|
산양
|
보통
|
유방염
|
Mycoplasma
strain F38
|
산양
|
높음
|
패혈증,
전염성 산양 흉막폐렴
|
- 예방 및 치료
∙ 수송이나 한냉, 환기부진, 다습 등에 의한 스트레스 발생요인 제거 및 사양위생관리 철저를 통한 혼합감염 방지를 제거, 바이러스 또는 다른 세균성 원인체에 대한 백신 접종을 통한 예방
∙ 발생전후 항생제 투여로 예방 또는 치료시는 항생제 감수성시험 후 약제 투여
(나)-1 산양의 전염성 흉막폐염
- 원인
∙ M. mycoides subsp, capari와 Mycplasma sp. F-38가 원인체
∙ Mycoplasma mycoides의 분류
- 증상
∙ Mycoplasma F-38형 (CCP)은 전형적으로 주 증상이 호흡기 증상임
∙ 41℃의 발열, 기침, 활력소실로 호흡곤란의 신음이 있고 포발성 기침, 타액
∙ 100% 이환율, 60~100% 폐사율, 상재지에서는 증상이 가볍고 폐사가 적음
∙ Mmc, Mmm은 흉막폐염외에 유방염, 유산, 자양의 폐염, 흉강내 다량의 흉수, 만성 흉막폐염으로 섬유소가 흉벽에 유착, 섬유소성 화농염, 다발성 관절염, 섬유소성 흉막염, 만성카달성 및 간질성 기관지염, 심외막염, 급성 간질성폐렴, 복막염 등
- 치료
∙ 타이로신 11mg/kg 3일간 근육주사, 옥시테트라싸이클린
15.5mg/kg 주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