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이수화)은 산림부존자원을 활용한 친환경 유기흑염소 생산기술을 개발해 흑염소 농가에 새로운 소득원으로 기대가 되고 있다고 밝혔다.
친환경 유기흑염소 생산기술은 번식흑염소와 고기 생산을 위한 유기흑염소를 키워내는 기술로 산지를 활용해 산야초와 잡관목류가 많은 경사지에 방목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농진청은 이 기술이 국내에서 생산된 유기농 부산물과 곡류사료만으로 유기흑염소 생산이 가능하며, 유기축산을 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인 유기축산용 조사료의 조달문제를 수입에 의존하지 않고 산림부존자원으로 해결해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농진청에 따르면 번식용 유기흑염소는 유기축산용 개량초지에 방목하는 것보다 산지의 산야초지에 방목하는 것이 생산비가 39.4% 절감됐으며, 이는 유기축산용이 아닌 일반초지에 비해서는 14.4% 절감된 효과다.
비육용 유기흑염소도 시판되고 있는 유기사료 가격보다 30%정도 저렴하게 제조해 급여함으로써 사료비를 절감할 수 있었으며, 관행사료를 이용해 개량초지에 방목 사육한 것과 비교하였을 때 몸무게 증가율은 23.0% 낮았으나 육질에 있어서는 산야초나 수엽류에 방목한 것이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경제성 면에서는 일반흑염소와 유기흑염소고기의 판매가격이 동일할 경우에는 관행적으로 사육한 것보다 유기축산을 하였을 때가 소득이 12~13% 감소됐으나 유기축산 흑염소 인증을 통해 1.3배 정도 높게 차별화해 판매할 경우에 25~27%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됐다고 농진청은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