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곱이네 흑염소농장
자유게시판  /  유익한 정보
유익한정보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플러스+  카카오스토리  네이버 블로그
축산현장 ‘소 모기매개성 질병’ 주의보
야곱

축산현장 ‘소 모기매개성 질병’ 주의보

지난달 이후 감염 의한 기립불능우 전국서 속출

김영길, young@chuksannews.co.kr

 

폭염 장기화로 모기 활동기간 연장…질병 기승
환경 개선·백신접종 등 각별한 예방활동 요구

소 모기매개성 질병 방역에 비상이 걸렸다.
최근 소 모기매개성 질병에 의한 기립불능 소가 전국적으로 속출하고 있기 때문. 이에 따라 방역당국은 농가들에게 각별한 예방활동을 당부하고, 예방요령을 내려보냈다.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 따르면, 지난 8월 초 이후 전북 남원·순창·장수·임실, 전남 곡성·순천·구례, 경남 거제·고성·통영 등에서 소 기립불능 증상이 확인되고 있다. 이번 기립불능 소의 연령은 8개월령에서 5년생으로 연령에 관계없이 나타나고 있다.
증상을 보면, 초기에는 특별한 징후를 보이지 않다가 갑자기 비틀거리거나 전지 또는 후지가 마비되면서 주저 앉는다. 그 이후 고열(또는 미열), 호흡곤란 증세를 일으키며 폐사한다. 임신우는 기립불능 송아지를 분만한다.
검역원은 의뢰된 가검물 5건을 진단한 결과, 소 모기매개성 질병인 소아까바네병, 아이노바이러스감염증, 소유행열, 츄잔병 등을 확인했다. 특히 과거와 달리 2종에서 많게는 4종이 동시감염됐다.
검역원 질병진단센터 문운경 연구관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올해 역시 모기매개성 질병에 대한 면역형성이 낮다. 또한 장기간 폭염, 집중호우, 대사성 질병 등이 질병발생을 확대시킨 요인으로 추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임신우에 감염될 경우, 병원체가 태아까지 감염을 유발하게 된다. 내년 상반기 태아흡수, 미이라, 유산, 조산, 사산, 허약우, 수두증, 척추만곡증, 사지관절기형 등이 대거 발생할까봐 우려된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올 여름 폭염과 폭우가 장기화되는 등 고온다습한 환경에 의해 모기 활동기간이 연장되면서 늦가을까지 모기매개성 질병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하고 있다.
검역원은 모기매개성 질병 예방방안으로 소 유행열과 소 아까바네병 백신접종 철저, 축사 주위 모기 서식처의 근절, 축사에 방충망 설치, 살충제 살포 또는 모기 유인등 설치 등을 제시했다. 아울러 전문가 처방을 받아 대증요법을 시행하고, 의심축 발생 시 관할 가축위생시험소 또는 검역원에 검사의뢰해 줄 것을 주문했다.
 
[이 게시물은 야곱님에 의해 2011-11-13 20:34:24 공지사항에서 이동 됨]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27 흑염소 개량·사료비 절감방안 제시 큰 호응 야곱 10.21 3455
26 외부기생충 구제로 겨울철 털 빠짐을 방지하자 야곱 10.12 2907
25 해열 진통제 이야기 (1) 야곱 09.26 3310
24 축산현장 ‘소 모기매개성 질병’ 주의보 야곱 09.03 2453
23 축산업 등록대상 확대…면적기준 강화 야곱 08.24 2732
22 한국형 흑염소 생산기반 만든다 야곱 08.13 2563
21 구제역 발생지역 농가 등 지원 대책(요약) 야곱 04.22 2507
20 모기매개성 가축질병 방역관리 야곱 03.31 3168
19 황사 발생시 축산농가 관리수칙 야곱 03.26 2637
18 창업(후계)농업경영인 육성사업지침 야곱 03.11 2574
17 방역본부, 2. 22일부터 대표전화 운영 - 야곱 02.25 2353
16 (필독)축사시설현대화사업 자금신청하세요 (1) 야곱 02.07 2744
15 주간정보 야곱 07.12 2323
14 [농식품부장관 ] 구제역 예방을 위해 축산농가의 자율적인 소독이 절대 필요합니다 야곱 01.24 2358
13 사슴·염소도 축산업 등록…양축 면허제도 검토 야곱 02.19 2796
 
 
123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