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곱이네 흑염소농장
자유게시판  /  유익한 정보
유익한정보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플러스+  카카오스토리  네이버 블로그
주간 축산 정보
야곱
1.구제역 예방
○ 구제역 발생지역 뿐만 아니라 발생하지 않은 다른 지역에서도 발생지역과 동일한 수준으로 차단방역을 철저히 한다.
○ 축사 안팎과 기구는 발생지역에서는 매일, 비발생지역은 최소한 1주일에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소독을 실시하고, 작업화와 작업복은 청결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 농장주와 농장 내 근무자가 외출 후 축사에 들어갈 때에는 샤워 후 농장 내 전용 옷과 신발로 교체하여 착용하고 출입해야 한다.
○ 그리고 농장내 출입하는 모든 차량과 사람에 대해서는 반드시 소독을 하고 기록을 하여야한다.
○ 차량을 소독할 경우에는 바퀴, 차체, 운전석 등을 전체적으로 소독하고, 운전자에 대해서도 반드시 소독 조치를 하여야 한다.
○ 구제역 바이러스가 사람이나 차량 등을 통해서 전파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축산농가는 각종 교육이나 모임, 회의 등 많은 인원이 모이는 장소에는 가급적 가지 마시고, 다른 농가와의 접촉을 최대한 하지 않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 또한 구제역 발생 국가에는 가급적 여행을 자제하고, 이들 국가를 여행한 경우에는 입국시 공항에서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 반드시 신고해야 한다.
○ 그리고 부득이 해외여행을 가더라도 외국의 축산농장을 방문하지 말고, 입국을 한 후 5일 이내에는 축사에 출입하지 않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2.조류인플루엔자예방
○ 조류인플루엔자는 감염된 철새의 배설물이나 오염된 먼지나 물, 분변 또는 옷이나 신발, 차량, 장비 등에 의해 전파되며, 닭이나 오리가 이 병에 걸리게 되면 산란율이 떨어지고 벼슬이 파란 색깔을 띠게 되며 머리와 안면이 붓고 급격한 폐사율을 보인다.
○ 예방을 위해서는 닭, 오리 사육농가는 가급적 철새 도래지에 가지 말고, 농장 내 청결유지와 주기적으로 축사소독을 철저히 하고 가축, 사료에 병을 옮기는 야생조류의 접근을 차단해야 한다. 또한 매일 사육하는 닭이나 오리를 관찰하여 질병이 의심되면 방역당국에 즉시 신고하고, 감염된 가축은 절대로 판매하거나 자체 처리해서는 안 되며, 외부인의 축사출입을 철저히 차단한다.

3.가축사양관리
○ 얼었던 땅이 녹으면서 축사 주위의 축대 등 붕괴될 우려가 있는 시설물은 보수하여 피해를 방지하고, 축사주변은 깨끗이 청소한 후에 소독을 실시하는 것이 좋으며, 지난겨울 동안 발정이 없었던 소는 운동과 일광욕을 충분히 시켜주고, 첨가제를 급여하여 정상적인 발정이 나타나도록 한다.
○ 기온이 풀렸다가 다시 추워지는 등 일교차가 심한 시기이므로 닭장 안의 온도 변화는 가급적 줄여 주는 것이 좋으며, 날씨가 풀리게 되면 닭의 사료섭취량은 늘어나게 되므로 육성계나 산란계는 체중을 적절히 유지시켜서 사료급여량을 알맞게 조절해 주어야 한다.
○ 젖소 착유실과 돈방 등의 청소를 실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청소수 사용을 최대한 줄이도록 한다.
○ 돼지 음수기의 높이를 성장단계별 적정높이로 조절하여 돼지가 음수 중 발생하는 물의 허실량을 최대한 줄여준다.

4.초지·사료작물관리
○ 초지 및 논뒷그루 사료작물 포장 땅이 녹으면서 재생을 시작하면 웃거름을 적기에 주어 생육을 촉진시켜 주는 것이 좋으며,
○ 해빙기 초지를 진압하여 줌으로 목초의 뿌리가 흙과 밀착되어 수분흡수를 좋게 한다.
○ 퇴구비를 시용하게 되면 토양중 유기물이 증가되어 수분 함유량이 증대 되고 사료작물포의 표면에 시용하게 되면 피복효과가 있어 수분증발이 억제된다.
○ 사료작물포의 겉흙을 1~2cm 긁어 줌으로 모세관이 차단되어 수분증발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 관수는 가뭄에 대비한 가장 적극적인 방법이나 관수시설이 갖추어진 포장에서만 이용이 가능하다. 관수는 이동식 스프링클러를 이용하여 실시하게 되며 목초지에는 최소한 하루에 3mm이상을 살수하여야 관수효과를 볼 수 있다.
○ 초지나 사료작물이 가뭄에 의하여 피해를 입게 되면 보파 또는 대파를 하여야 한다. 초지나 사료작물이 부분적으로 피해를 입게 되면 보파를 실시하여 피해지를 회복시켜야 하며, 큰 면적이 피해를 입게 되면 초지는 완전 갱신을 하여야 하고 사료작물은 파종시기를 고려하여 대파를 해야 하는데 초지는 기존 식생과 같은 혼파 조합을 구성할 경우 종전과 같은 초종의 비율을 구성하여 35~40kg/ha의 종자를 확보하여야 한다.

5.가축위생관리
○ 일교차가 커지면 가축 질병 발생이 증가하게 되므로 어린 송아지는 보온을 위해 깔 짚을 깔아 주고 밤에는 보온등을 켜 주고, 어미소의 먹이는 약간 줄여 주는 것이 좋다.
○ 환절기에는 유행성 설사와 폐렴 등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예방을 위해서는 소독과 차단방역,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자돈의 보온과 습도 관리를 조절해야 하며, 유해가스 제거를 위해서는 적절한 환기를 해주어야 한다.
○ 뉴캣슬병 등 조류 질병 예방을 위해서 예방접종과 소독을 실시하고 적절한 보온과 환기를 하도록 한다.
○ 늦추위에 대비하여 급수기와 축사주위 시설이 얼지 않도록 점검하고 가축분뇨 처리시설을 점검․정비하여 발효가 잘 되도록 하고, 가축분뇨를 액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충분하게 발효․부숙 시킨 후에 살포하도록 한다.

6.가축질병신고
○ 사육하고 있는 가축을 매일 잘 관찰하여 구제역 등 가축질병 의심증상이 보이면 신속히 가축방역기관(1588-4060/9060 또는 1666-0682)에 신고해야 한다.
-농촌진흥청 제공-
 
[이 게시물은 야곱님에 의해 2011-11-13 20:35:24 공지사항에서 이동 됨]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42 국내 축산기재업체 홈페이지 야곱 03.27 2611
41 주간 축산 정보 야곱 02.20 2519
40 1월 17일 월요일 24시 현재 상황실 브리핑 야곱 01.19 2697
39 「가축전염병예방법 일부개정법률안」국회 통과 야곱 01.15 2193
38 허가제 도입…축산 아무나 못한다 야곱 01.05 2306
37 구제역은 하나님의 재앙의 시작인가? 야곱 12.29 2243
36 [방역본부] 경기 남부지역(이천, 여주, 양평), 구제역 예방접종 추가 실시 야곱 12.29 5873
35 [방역본부] [Q&A] 구제역 예방접종…“고기는 먹어도 안전” 야곱 12.29 2304
34 구제역 확산에 따른 가축거래 등 조치사항 개선(보완) 알림 야곱 12.29 2099
33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당부의 말씀 야곱 12.24 2093
32 추위에 강하지만 샛바람은 막아주자 야곱 12.21 2279
31 사육제한 확대 야곱 12.20 2540
30 전화 신고후 의심축 격리…방역관 도착까지 이동 금지 야곱 12.09 2361
29 흑염소 전문도축장 가동…내년부터 소비촉진 기대 야곱 11.02 2565
28 가업승계농 육성 파격지원 검토 야곱 10.23 2304
 
 
123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