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곱이네 흑염소농장
자유게시판  /  유익한 정보
유익한정보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플러스+  카카오스토리  네이버 블로그
주간축산정보
야곱
1. 구제역 예방
○ 축사 안팎과 기구는 매일 소독을 실시하고, 작업화와 작업복은 항상 청결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 재입식을 위한 농장의 차단방역시설을 확인하고 야생동물들이 농장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울타리와 출입문을 점검한다.
○ 농장주와 농장 내 근무자가 외출 후 축사에 들어갈 때에는 샤워 후 농장 내 전용 옷과 신발로 교체하여 착용하고 출입해야 한다.
○ 그리고 농장내 출입하는 모든 차량과 사람에 대해서는 반드시 소독을 하고 기록을 하여야한다.
○ 차량을 소독할 경우에는 바퀴, 차체, 운전석 등을 전체적으로 소독하고, 운전자에 대해서도 반드시 소독 조치를 하여야 한다.
○ 또한 구제역 발생 국가에는 가급적 여행을 자제하고, 이들 국가를 여행한 경우에는 입국시 공항에서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 반드시 신고해야 한다.
○ 그리고 부득이 해외여행을 가더라도 외국의 축산농장을 방문하지 말고, 입국을 한 후 5일 이내에는 축사에 출입하지 않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 구제역예방 백신 접종 프로그램에 의거, 접종시기가 도래된 양돈농가 등은 접종 도래시점 1주전에 시·군 또는 양돈협회 지부 등에 백신 공급 신청을 한다. 또한 백신접종 후에는 농장별 자체 '예방접종 실시대장'에 기록 및 확인한다.
【예방접종시 주의사항】
○ 백신은 반드시 2~8℃에 보관하여야 하고 얼지 않도록 주의한다.
○ 사용시 냉장상태에서 사용 30분전에 꺼내 실온에서 유지하고, 8℃이상 실온에서 잘 흔들어 사용한다.
○ 백신 접종전, 동물은 가능한 안정을 시키고, 주위를 조용하게 유지한다.

2. 조류인플루엔자 예방
○ 조류인플루엔자는 감염된 철새의 배설물이나 오염된 먼지나 물, 분변 또는 옷이나 신발, 차량, 장비 등에 의해 전파되며, 닭이나 오리가 이 병에 걸리게 되면 산란율이 떨어지고 벼슬이 파란 색깔을 띠게 되며 머리와 안면이 붓고 급격한 폐사율을 보인다.
○ 예방을 위해서는 닭, 오리 사육농가는 가급적 철새 도래지등 야생조류가 많은 지역에 가지 말고, 농장 내 청결유지와 주기적으로 축사소독을 철저히 하고 가축, 사료에 병을 옮기는 야생조류의 접근을 차단해야 한다.
○ 그리고 매일 사육하는 닭이나 오리를 관찰하여 질병이 의심되면 방역 당국에 즉시 신고하고, 감염된 가축은 절대로 판매하거나 자체 처리해서는 안 되며, 외부인의 축사출입을 철저히 차단한다.

3. 가축 사양관리
○ 가축의 발정상태를 잘 관찰하여 적기에 수정을 시켜 수태율을 높이도록 하고, 새끼 밴 가축은 운동을 충분히 시켜 분만을 잘할 수 있도록 해준다.
○ 새끼를 생산할 어미소는 농후사료를 많이 주면 성장은 빠르나 살이 많이 쪄서 수태율이 떨어지게 되므로, 조사료를 충분히 급여하면서 부족되는 영양분을 농후사료로 보충해 주도록 한다.
○ 어미돼지의 사료 통을 수시로 확인하여 사료가 남아 있지 않도록 해주고, 항상 신선한 사료와 물을 먹을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 닭의 사료효율은 환경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한낮 기온이 높을 때는 창문을 열어 환기 시켜 주고, 밤에는 보온관리를 하여 저온으로 인한 피해를 받지 않도록 해 준다.

4 초지 사료작물 관리
○ 초지에 소를 방목시킬 때는 초지를 5~10개로 구분을 하여 2~3일씩 순차적으로 돌려가며 효율적으로 이용하도록 하고, 방목을 시킨 후에 남아 있는 풀은 출수기 이전에 베어서 건초로 만들도록 한다.
○ 호밀과 귀리는 수확하여 건초나 담근먹이를 만들어 이용하도록 하되 담근먹이를 만들 경우 유숙기 초기에 수확하는 것이 영양분이 많고 품질이 좋아지므로 적기에 수확하여 이용하도록 한다.

5. 가축 위생관리
○ 돈열 예방을 위해 소독과 출입통제 등 차단방역을 하고 감염된 가축을 발견시에는 신속히 신고하고 절대로 자체 처리하지 않도록 한다.
○ 황사가 발생될 때는 노출되어 있는 사료는 비닐로 덮고 가축을 축사 안으로 대피시키는 등 사전대비를 하고 황사가 지나간 즉시 가축과 축사를 소독하며 질병 발생 여부를 관찰토록 한다.
○ 호흡기 질병의 적절한 예방을 위해서는 백신과 송아지에 대한 온도관리가 중요하며 소를 구입했을 경우 구입 즉시 호흡기 질병 혼합백신을 접종하도록 하며 축사 환기에 주의한다
○ 소 브루셀라병과 결핵병은 야생동물의 축사 내 출입을 차단하고 축사주위를 정기적으로 소독하며 주기적인 혈청검사를 받도록 한다.
○ 닭 뉴캣슬병과 가금티푸스 등은 양계장 출입자와 차량 및 야생조수에 대해 차단방역을 실시하고 주요 질병에 대한 예방 프로그램에 따라 백신접종을 실시해야 한다.
○ 가축분뇨 퇴비장에는 적량의 수분 조절재를 혼합하고 액비저장 탱크에는 폭기와 교반을 잘 하여 발효시켜 악취와 유해성분이 제거된 액비를 이용하도록 한다.

6. 가축질병 신고
○ 사육하고 있는 가축을 매일 잘 관찰하여 구제역 등 가축질병 의심증상이 보이면 신속히 가축방역기관(1588-4060/9060 또는 1666-0682)에 신고해야 한다. -농촌진흥청
[이 게시물은 야곱님에 의해 2011-11-13 20:36:04 공지사항에서 이동 됨]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57 2012년부터 축산업 허가제 도입 야곱 06.25 2649
56 |질병정보| 해외 가축전염병 발생 동향(2011.5월) 야곱 06.25 3243
55 방역 매뉴얼과 관련법 개정 등 제도개선에 최선 야곱 06.25 2973
54 2012년부터 가축거래상인 등록제 도입 야곱 06.25 2364
53 ⊙ 2012년부터 축산농장을 출입하는 모든 차량에 대해 단계적으로 등록제를 도입하게 된다. 야곱 06.25 2268
52 축산관계자 책임 분담 원칙 확립 야곱 06.25 2215
51 축산업 허가 취소되면 3년간 못한다 야곱 06.22 2358
50 전국에 466개 ‘축협방제단’ 가동…공방단 대체 야곱 06.01 2400
49 주간축산정보 야곱 05.25 2214
48 선진화 대책, 규제만이 능사인가” 야곱 05.11 2388
47 주간축산정보 야곱 05.10 2401
46 허가제로 농가 책임·의무 늘고, 방역관리과 신설로 조직 강화 야곱 05.09 2503
45 황사 발생시 축산농가 관리수칙 야곱 05.06 2302
44 「가축질병 방역체계 개선 및 축산업 선진화 세부방안」발표 야곱 05.06 2271
43 봄철 흑염소 사양관리 어떻게 야곱 03.29 3574
 
 
12 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