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재은 기자] 정부가 농어업의 산업화를 본격 추진하기 위해 경제자유구역(FEZ)과 유사한 개념의 `농식품산업특구` 조성에 나선다.
농식품산업특구는 1차산업인 농어업 생산 지역에
식품제조업이나 유통업 등 농식품 관련 2,3차 산업까지 한 곳에 모아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전략으로, 정부는 올해중 관련법 제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장태평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은 20일 이데일리TV에서 방송될 이데일리 창간 10주년 특별 인터뷰에서 "농어업 발전을 위해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무엇보다 시장을 만들고 넓히는 데 노력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농업의 산업화를 위한 농식품산업특구 제도는 일정지역에 농업생산과 가공, 유통, 물류 등 2,3차 산업분야를 연계해 사전에 계획적으로 개발해 나가는 개념이 골자다. 정부는 현재 TF와 전문가 협의체를 구축하고, 관련
연구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정부는 연내 농식품산업특구 지정 및 지원에 관한 법률(가칭)을 제정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 시범사업을 거쳐 내년부터 특구 조성에 나설 방침이다.
이와 관련, 농식품부 관계자는 "농업의 구조적 특성을 감안한 새로운 돌파구로 산업화 촉진전략인 산업입지정책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농식품 수출 활성화를 위한 특구에 세제지원 등 다양한
인센티브도 검토중이다.
장태평 장관은 또 농업의 산업화를 위해서는
전자, 조선 등과 같이 세계 1~2위를 다투는 식품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장 장관은 "2020년까지 네슬레, 크래프트같은 세계적 식품기업을 5개이상 만들 것"이라며 "네슬레의 경우 삼성전자와 매출이 비슷하지만 이익이 4배나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결국 사람과 R&D에 대한 투자가 농업의 산업화의 핵심"이라며 "교육,
컨설팅을 통해 지역별 지도자를 육성하고, 지난 5년간 3조원이었던 R&D투자도 향후 5년간 6조원이상 지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농업 산업화 과정에서 식량안보가 도외시될 수도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 장 장관은 "국내 생산기반을 넓히고, 비축과 해외농업개발을 통해 해결해 나갈 것"이라며 "
에너지 개발처럼 해외농업개발에도 적극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장 장관은 "모든 것에는 때가 있다"며 "농정체제를 바꾸고, 농수협 개혁을 진행하는 한편 농업의 마인드를 바꿔
반도체, 조선처럼 농식품산업을 육성할 것"이라고 말했다